힐링존 수행 체계

힐링존의 수행 목표는 명확하다. 최종적으로는 우리 안에 고이 간직된 채 아직 드러나지 않은 영혼을 깨워 내면의 신성과 합일하는 것이다. 5개 영역으로 구분된 순차적 수행 과정 또한 각각의 지향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수행을 위한 과정은 그림 수행 로드맵과 같이 크게 사전 준비 단계와 실제 전문화된 수행 단계로 구분된다. 준비 단계는 본격적인 수행에 앞서 필요한 기본 요건을 갖추고 일상에서 수행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제 본 수행이라고 할 수 있는 수행 1/ 2/ 3은 10단계의 수행 방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행 로드맵에서 제시된 방편들은 내면의 신성을 깨워 지금의 내가 있기까지 몸소체험한 결과로 얻은 소중한 자산들이다. 지난 35년간의 경험과 시행착오를 거치며 체계화하고 연구한 노력이 집약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수행 체계는 최대한의 기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과정을 일반화하고 정형화하는 노력을 기울였지만, 절대적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순서를 바꾸거나 건너뛸 수도 있다. 일부 방편에서는 불가피하게 중복적이거나 유사한 내용이 반복될 수 있다. 특히 실제 수행을 지도하면서는 개인적인 특성이나 상황을 고려해 개별 맞춤형의 조합 형태로 응용되기도 한다.

(수행 로드맵) 힐링존의 수행과 힐링은 5개 영역 10단계의 수행 방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크게는 사전 준비 단계와 본 수행 단계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사전 준비 단계는 본격적인 수행을 위해 필요한 방편들이다. 이후 세부적인 10개의 수행 도구를 통해 정화와 신성의 문을 열어간다.

사전 준비 단계는 시동 걸기와 일상화 훈련 과정으로 구성된다. 시동 걸기 단계는 큰 에너지의 폭발을 일으켜 존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촉매제, 시발점이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잘못된 인식의 틀이나 사고 체계에 대해 가히 폭발적이라 할 만큼 커다란 관점의 전환이 일어나야 한다.

일상화 훈련 단계는 본 수행 과정에서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자각과 가슴, 고통체를 어떻게 일상에서 지속적으로 다룰 수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둔다.

이상의 시동 걸기와 일상화 훈련 방편들은 비록, 전체 로드맵 중 한부분들을 차지하고 있지만 전 주기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되어야만 몸과 마음에 뿌리내릴 수 있다. 그때서야 비로소 무의식적 발현이 가능해지면서 언제 어디에서든지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자리 잡는 것이다.

실제 본 수행에 해당되는 10단계의 방편에 대해서는 표 수행 단계별 목표와 방편을 참고하여 개략적인 이해와 주요 목표를 살펴볼 수 있다. 주로 영언과 빛과 자각 명상으로 구성된다.